본문 바로가기
주식공부

사회 초년생의 돈 공부 - 주식으로 10년 앞서 가는 법(🔥확장편#14 )

by 만디주인장 2025. 5. 3.
반응형

[14편] 주식 외 자산 투자 맛보기

💡 부제: 금, 부동산, 채권 기본 소개


🔍 왜 주식 외 자산에도 눈을 돌려야 할까?

주식은 매력적인 투자 수단이지만, 시장 변동성이 클수록 심리적 부담도 커집니다. 이럴 때 안정성과 수익성을 함께 고려하는 다른 자산군을 이해해두면 포트폴리오가 훨씬 단단해집니다.
특히 금, 부동산, 채권은 자산 분산의 핵심입니다.


🥇 1. 금 (Gold) – 위기 속의 안전자산

✅ 금의 특성

  • 실물 자산: 가치가 본질적으로 존재
  •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: 돈의 가치가 떨어질수록 금값 상승
  • 환율·금리와 반비례 관계

💰 투자 방법

  • 금 통장: 은행에서 소액으로 쉽게 시작
  • 금 ETF: KRX 금시장 연동 ETF (예: KODEX 골드선물(H))
  • 골드바 실물 구매: 한국금거래소 등에서 구매 가능

📌 팁: 단기 시세차익보단 장기적 리스크 관리용으로 적합


🏡 2. 부동산 – 자산가들이 사랑하는 실물 자산

✅ 부동산의 특징

  • 수익형과 실거주용으로 구분
  • 물가 상승 시 가치 보존 효과
  • 레버리지 투자 가능 (전세 활용)

💰 투자 방법

  • REITs(리츠): 소액으로 빌딩이나 물류센터에 투자 가능
  • 부동산 펀드: 금융기관을 통해 간접 투자
  • 공공기관 청약 or 소형 아파트 투자: 장기 투자로 적합

📌 단점: 유동성 낮고, 초기 자금이 많이 든다는 점 고려해야 함


💵 3. 채권 (Bonds) – 수익은 낮지만 안정성 최고

✅ 채권의 기본 구조

  • 국가나 기업에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개념
  • 원금 보장 성격이 강한 안정형 자산
  • 금리와 역의 관계 → 금리 하락 시 채권 가격 상승

💰 투자 방법

  • 국채·회사채 직접 매입 (증권사에서 가능)
  • 채권형 펀드 또는 ETF (예: KOSEF 국고채)

📌 금리가 높을 때 진입하면 유리함. 단, 중도 환매 시 손실 주의


📊 자산별 비교 요약표

  자산군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수익성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안정성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유동성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접근성
높음 높음 높음
부동산 높음 낮음 낮음
채권 낮음 높음
 

 


✅ 나만의 포트폴리오에 활용해보기

20대 사회 초년생이 모든 자산에 동시에 투자하긴 어렵습니다. 하지만 작은 비중이라도 분산을 시작해보면 리스크에 덜 흔들릴 수 있습니다.

예시:

  • 금 ETF 10%
  • REITs 15%
  • 주식 60%
  • 채권 ETF 15%

✍️ 마무리: 투자 안목은 넓을수록 강해진다

주식만이 투자의 전부가 아닙니다. 금, 부동산, 채권을 이해하면 경제 흐름도 훨씬 더 입체적으로 보이기 시작합니다.
투자 안목을 넓히는 작은 시도,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