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✅ 인트로: 수익보다 중요한 ‘지키는 법’
주식을 시작하고 첫 수익이 나면 정말 기쁘죠.
하지만 막상 계좌에 찍힌 수익보다
실제 입금되는 금액이 적다면 당황스러울 수 있습니다.
그 이유는 바로 세금과 수수료 때문입니다.
아무리 수익을 내도
이 두 가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
실질 수익률은 크게 줄어들 수 있습니다.
오늘은 주식 초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
세금과 수수료의 종류, 계산법, 절세 팁까지
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!
✅ 1. 주식 거래 수수료란?
수수료는 증권사에게 지불하는 비용입니다.
주식을 매수하거나 매도할 때마다 발생하며,
주로 아래 두 가지로 나뉩니다.
📌 ① 위탁 수수료
- 증권사에 따라 다르며,
- 온라인 거래 시 0.015%~0.1% 수준
예: 100만 원어치 삼성전자 매수 → 1,500원 정도 수수료 발생
📌 ② 유관기관 수수료
- 한국예탁결제원, 거래소 등 기관에 지급
- 평균 0.0036396% 수준
✅ 2. 거래세와 배당소득세
📌 ① 주식 거래세 (매도 시만 부과)
- 국내 상장주식: 0.20% (2023년 기준)
- 코스닥은 0.23%, 코넥스는 0.10%
예: 1,000만 원어치 주식 매도 시
→ 2만 원의 거래세 자동 징수됨
📌 ② 배당소득세
- 배당금의 15.4%
(소득세 14% + 지방소득세 1.4%)
예: 배당금 100,000원 → 실제 수령액은 84,600원
✅ 3. 해외주식 세금은 더 복잡하다!
해외주식은 국내와 달리
차익에도 세금이 부과됩니다.
📌 ① 양도소득세
- 연간 250만 원 이상 차익 발생 시
- 22% (지방세 포함) 부과
- 다음 해 5월에 직접 신고·납부
📌 ② 배당소득세 (해외도 동일하게 15.4%)
- 단, 일부 국가는 이중과세 조정 가능
(예: 미국 15% 원천징수 → 국내 0.4%만 추가 납부)
✅ 4. 절세 팁: 초보자도 가능한 방법
✔ ISA 계좌 활용
-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(ISA)는
비과세 또는 저율과세 혜택 제공 - 연간 400만~2,000만 원까지 비과세 한도
✔ 연금저축, IRP 이용
- 투자 수익 비과세, 소득공제 혜택
- 장기투자 목적이라면 강력 추천
✔ 손익통산 활용 (해외주식)
- 특정 종목 손실과 이익 합산하여
세금을 줄일 수 있음
✅ 5. 실전 계산 예시
💡 예시: 삼성전자 100만 원 매수 → 120만 원 매도
항목금액
매수금액 | 1,000,000원 |
매도금액 | 1,200,000원 |
수수료 (0.015%) | 약 180원 |
유관기관 수수료 | 약 43원 |
거래세 (0.20%) | 2,400원 |
실수익 | 약 197,377원 |
→ 수익률은 20% → 실제는 약 19.74%
✅ 마무리: 수익을 지키는 것도 투자다
세금과 수수료는 피할 수 없는 투자 비용입니다.
그러나 이를 미리 이해하고 대비한다면,
불필요한 손해를 줄이고
실질 수익률을 더 높일 수 있습니다.
주식은 사고파는 것뿐 아니라
‘지키는 것’이 더 중요할 때도 있습니다.
수익률 1~2% 차이가
장기적으로 큰 차이를 만든다는 점,
꼭 기억하세요!
#주식세금 #수수료계산 #절세팁 #초보투자자 #해외주식세금 #배당소득세
'주식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대를 위한 주식 초보 완전정복 가이드] (19편) 목표 수익률과 투자 계획 세우기 - 나만의 투자 전략 만드는 방법 (0) | 2025.04.30 |
---|---|
[20대를 위한 주식 초보 완전정복 가이드] (18편) 주식 뉴스 보는 법 헷갈리는 경제 기사, 해독하는 기술 (0) | 2025.04.29 |
[20대를 위한 주식 초보 완전정복 가이드] (16편)모의투자로 연습하는 방법 - 실전 투자 전 연습 게임 (0) | 2025.04.29 |
[20대를 위한 주식 초보 완전정복 가이드] (15편) 국내주식과 해외주식 투자 차이 - 어디에 투자할까? (0) | 2025.04.28 |
[20대를 위한 주식 초보 완전정복 가이드] (14편) 주식 초보가 피해야 할 실수 5가지 - 첫 실패를 줄이는 비법 (0) | 2025.04.28 |